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뱃돈 증여세, 얼마나 받으면 세금 부과될까?

by 옆집언니자나 2025. 3. 3.
반응형

매년 설날마다 받는 세뱃돈, 과연 세금이 부과될까요? 세뱃돈은 부모나 조부모가 자녀나 손주에게 주는 금전적 지원의 한 형태로,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뱃돈의 증여세 부과 기준, 미성년자와 성인 간 차이, 그리고 절세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뱃돈증여

1. 세뱃돈도 세금 대상일까? 증여세 기본 개념

세뱃돈은 부모, 조부모, 친척 등으로부터 받는 금액이기 때문에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증여란 타인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하는 행위를 뜻하며, 국세청에서는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증여에 대해 증여세를 부과합니다.

✅ 증여세 기본 원칙

  • 증여재산 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세금 부과
  • 증여자의 관계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름
  • 미성년자와 성인의 기준이 다름

 

2. 세뱃돈 증여세 부과 기준 (2025년 기준)

세뱃돈을 받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연간 증여재산 공제 한도입니다.

증여자 수증자(받는 사람) 연간 공제 한도
부모 미성년 자녀 2,000만 원
부모 성인 자녀 (만 19세 이상) 5,000만 원
조부모 미성년 손주 1,500만 원
조부모 성인 손주 5,000만 원
친척 (삼촌, 고모 등) 누구나 1,000만 원

 

3. 세뱃돈 증여세 신고 및 절세 방법

✅ 세뱃돈 증여세 신고 방법

  1. 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 국세청 홈택스에서 증여세 신고서 제출
    • 초과 금액에 대한 증여세 납부
  2. 공제 한도 내 금액은 신고 불필요

✅ 세뱃돈 증여세 절세 방법

  • 소액으로 나누어 지급 - 한 번에 큰 금액을 주는 것보다 매년 나누어 주면 공제 한도 초과를 방지할 수 있음
  • 부모보다 조부모가 증여하면 절세 가능 - 부모의 공제 한도(2,000만 원)보다 조부모의 공제 한도(1,500만 원)가 낮으므로, 부모가 세뱃돈을 주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음

 

결론

세뱃돈은 일정 금액을 초과할 경우 증여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공제 한도 내에서는 세금 부담이 없습니다.

  • 부모에게 받으면 미성년자는 2,000만 원, 성인은 5,000만 원까지 공제
  • 조부모에게 받으면 미성년자는 1,500만 원, 성인은 5,000만 원까지 공제
  • 친척에게 받으면 1,000만 원까지 공제

즉, 일반적인 세뱃돈 수준(수십만 원~백만 원 단위)에서는 증여세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만약 고액의 금액을 받을 경우에는 공제 한도를 확인하고 증여세 신고 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이제 안심하고 세뱃돈을 주고받으세요!

반응형